728x90

 

이번에 정리해볼 주식은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는 국민 주식으로 불리며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는 주식이지만 코로나19 주가 상승기 이후 고점을 찍고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저점을 다지고 추세를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이슈는 무엇이며, 기업 분석, 기본적 분석까지 정리해봤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전망
  • 최신 이슈
  • 재무제표
  • 차트분석

 

삼성전자 최근 이슈

 

재고 자산이 증가하는 삼성전자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올해 1분기에도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깊은 불황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반도체 부문의 재고가 크게 늘었습니다.

 

2023년 5월 15일 삼성전자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재고자산은 54조4195억원으로 작년 말(52조1878억원)보다 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47조5907억원)과 비교하면 14.3% 늘어난 수치입니다.

 

특히 반도체를 담당하는 DS부문 재고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29조576억원이었던 DS부문 재고는 올 1분기 31조9481억원으로 9.9% 증가했습니다. 반도체 업황이 악화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재고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다만 가전과 모바일 사업을 담당하는 DX부문 재고자산은 같은 기간 20조1901억원에서 19조8208억원으로 1.8% 감소했습니다. 디스플레이(SDC)부문 재고자산도 2조1661억원에서 1조7014억원으로 21.5% 줄었습니다.

 

올 1분기 스마트폰 점유율은 25.2%로, 작년 1분기보다 1.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스마트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도 삼성전자가 갤럭시 S23을 내세워 시장 점유율을 늘린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020년 19.6%였던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은 꾸준히 오르는 추세입니다. 삼성전자는 2011년 이후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올 1분기 삼성전자의 5대 주요 매출처에는 미국 3대 통신사인 AT&T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 대신 지난해 말까지 주요 매출처였던 가전 양판점 베스트바이는 명단에서 빠졌습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 S23 판매가 늘면서 통신사였던 AT&T가 주요 매출처에 포함됐다고 설명했습니다. 5대 매출처에는 AT&T 외에 애플과 도이체텔레콤, 퀄컴, 버라이즌 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기업분석

삼성전자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과 DX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 및 D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ㆍ판매법인, SDC Harman 산하 종속기업 등 230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Set 사업은 DX(Device eXperience) 부문이 TV를 비롯하여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HHP(스마트폰 등),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ㆍ판매하며, 부품 사업은 DS(Device Solutions) 부문에서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ㆍ판매하고, SDC가 중소형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DP)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7년에 인수한 Harman에서는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텔레매틱스(Telematics), 스피커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112월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의 CE 부문과 IM 부문을 DX 부문으로 통합하였으며, 무선사업부의 명칭을 MX(Mobile eXperience)사업부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내부 조직체계에 맞추어 SDCDS 부문과 별도로 구분하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국내에서는 DX 부문 및 DS 부문 등을 총괄하는 본사와 34개의 종속기업이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수원, 구미, 광주, 기흥, 화성, 평택사업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종속기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삼성디스플레이와 국내 대리점 판매를 전담하는 삼성전자판매, 제품 수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삼성전자서비스, 제품 운송을 담당하는 삼성전자로지텍등 비상장 종속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20231분기 매출은 DX 부문이 462,225억원(72.5%), DS 부문이 137,345억원(21.5%)이며, SDC66,142억원(10.4%), Harman31,659억원(5.0%)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매출 20231분기 매출은 637,4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0% 감소하였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DX 부문이 3.8%, DS 부문이 48.9%, SDC17.0% 감소하였으며, Harman18.7%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제품별, 매출 유형별, 주요 지역별 매출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최근까지의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전자의 당기순이익은 2022년 12월까지 꾸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경기 불황으로 인해 삼성전자의 매출은 감소하였습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은 어떻게 될까요?

 

 

외국인의 순매수가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삼성전자의 차트 흐름은 어떻게 될까요?

 

삼성전자 차트 전망

 

삼성전자의 차트 흐름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차트 흐름은 큰 흐름에서 작은 흐름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살펴볼 것은 월봉입니다.

 

 

삼성전자의 월봉입니다.

완만한 상승 흐름을 이어오던 삼성전자의 차트는 2016년부터 추세선 각도를 높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시점에 이르러서는 한차례 슈팅을 뽑아냈습니다.

너도나도 삼성전자 10만원을 얘기하던 시기입니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급격한 상승 후에 조정이 이어졌고, 현재는 월봉상 상승 추세선의 하단에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봉을 한번 보겠습니다.

월봉에서 봤던 것처럼 급등하고 하락하던 삼성전자의 주가는 5만5천원 부근에서 지지를 받으면서 현재는 주가가 반등한 흐름입니다.

하지만 완전한 추세 전환을 생각하기에는 다소 아쉬운 점이 하락을 이끈 저항대들이 남아있다는 것이며 거래량을 동반한 시원한 상승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주봉 상의 거래량을 보면 거래량이 크게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 혹은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탄력적인 상승의 동력이 조금 부족해 보입니다.

 

일봉으로 조금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하락하던 추세를 돌리고 하락 추세선 하단에서 일차적으로 지지를 받은 후 현재 횡보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아서 주가의 상승 동력이 부족한 것이 아쉽습니다.

하지만 반도체와 관련한 호재가 나와준다면 한번의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이 동반된다면 하락추세를 마치고 추세를 바꾸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공유합니다."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